특정 전해질을 같이 주입하면 침전(precipitation)이나 결정(crystal)이 생길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함
칼슘(Ca²⁺) + 인산(Phosphate, PO₄³⁻)
- 침전 위험: 칼슘과 인산이 만나면 칼슘인산염(Calcium phosphate) 침전 발생 가능.
- 예시: Calcium gluconate와 Potassium phosphate (K-Phos)
- 주의: 칼슘과 인산을 같이 줘야 한다면 희석을 최대한 많이 하고, 투여 속도를 천천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.
마그네슘(Mg²⁺) + 인산(Phosphate, PO₄³⁻)
- 침전 위험: 마그네슘과 인산이 결합하면 마그네슘인산염(Magnesium phosphate) 침전 발생 가능.
- 예시: Magnesium sulfate와 Sodium phosphate
- 주의: 가능하면 각각 따로 투여하는 게 좋음.
마그네슘(Mg²⁺) + 칼슘(Ca²⁺)
- 침전 위험: 마그네슘과 칼슘이 만나면 마그네슘-칼슘 복합체가 형성되어 결정이 생길 수 있음.
- 예시: Magnesium sulfate와 Calcium gluconate
- 주의: 동일한 라인에서 동시 주입을 피하고, 따로 투여하는 게 안전함.
3way로 같이 주입해야 하는 경우 대처법
- Y-site compatibility 확인: 병원에서 사용하는 compatibility chart를 확인해서 섞어도 되는지 먼저 체크!
- 최대한 희석: 수액(특히 NS, D5W)에 최대한 희석해서 농도를 낮춰주기.
- 주입 속도 조절: 빠르게 주입하면 침전 위험이 높아지니까 천천히 주입하기.
- Flush 사용: 약물 투여 사이에 NS로 플러싱하면 침전 방지에 도움.
- 물리적 변화 확인: 백색 혼탁, 결정, 침전물이 보이면 즉시 투여 중단!
'간호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-fib과 Minimal UFR의 관계 (0) | 2025.04.24 |
---|---|
위석과 콜라의 관계 (0) | 2025.04.24 |
심전도 SR base? APC? (0) | 2025.04.24 |
객담 양상 SL? BTS? (0) | 2025.04.24 |
Fibroscan(간 탄성도 검사) 결과 해석 (1) | 2025.03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