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ABGA(Arterial Blood Gas Analysis,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)와 lactic acid(젖산)
ABGA의 lactic acid은 혈액 내 젖산 농도를 의미
젖산은 신체가 무산소 상태에서 에너지를 생성할 때 생성되는 대사 산물
정상적으로는 간과 신장에서 제거되나,
젖산 농도가 높아지면 lactic acidosis(젖산산증)이 발생
Lactic Acid 정상 수치
- 정상: 0.5~2.2mmol/L
- 4mmol/L 이상이면 젖산산증 의심
- 일반적으로 lactic acid가 낮은 경우는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음
- lactic acid가 높은 경우 조직 저산소증이나 패혈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
반응형
Lactic Acid 상승 원인
1. 조직 저산소증(Hypoxia)
- 쇼크(Septic shock, Cardiogenic shock 등)
- 저산소증(Hypoxemia)
- 심부전
2. 조직 대사 이상
- 패혈증(Sepsis)
- 간부전(Liver failure), 신부전(Kidney failure)
: 간과 신장에서 젖산 대사가 저하됨
3. 약물 및 기타 원인
- Metformin, 에탄올, 살리실산 중독
- 심한 운동
Lacitc Acid 감소 원인
1. 과도한 젖산 제거
- 간이나 신장이 과활성 상태일 때
- 알칼리성 치료제 등 특정 약물 사용 시
2. 젖산 생성 감소
- 신체 대사율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경우
- 근육량이 극도록 적은 경우
3. 검사 오류 또는 희석
반응형
'간호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윌슨병(Wilson’s disease) (0) | 2025.03.17 |
---|---|
인공기도 Endotracheal Tube (ETT, 기관내관)과 Tracheal cannula(기관절개관)의 위치 (0) | 2025.03.17 |
간이식과 코노스(KONOS, 한국장기조직기증원) (0) | 2025.03.17 |
ABGA 검사 Base Excess(BE)결과 해석 (0) | 2025.03.17 |
경피적 내시경적 위장관 삽입술 PEG / 경피적 내시경적 위장관 소장 삽입술 PEGJ (0) | 2025.02.15 |